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회초년생을 위한 2025년 4대 보험 완전정리

by 류틴2 2025. 7. 29.

 

처음 회사에 입사하거나, 프리랜서 일을 시작하면서 ‘4대 보험’이 뭔지 생소한 분들 많으실 겁니다.
게다가 2025년부터 4대 보험 제도가 꽤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4대 보험의 개념부터 2025년 달라진 핵심 사항까지 아주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 4대 보험이란?

4대 보험은 정부가 운영하는 사회보장제도로, 근로자와 국민의 건강, 실업, 노후, 사고를 보장하기 위해 만든 제도입니다.

  • ① 건강보험: 병원비 부담을 줄여주는 제도
  • ② 국민연금: 노후에 연금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받는 제도
  • ③ 고용보험: 실직 시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게 해주는 제도
  • ④ 산재보험: 일하다가 다쳤을 때 치료비와 휴업급여를 보장하는 제도

📌 2025년, 4대 보험 이렇게 달라졌어요!

1. 건강보험료 인상

2025년부터 건강보험료율이 7.15%로 인상됐습니다. 예를 들어, 월급 300만 원을 받는다면 월 약 2,100원 정도 더 내게 됩니다.

고령화와 의료비 증가에 따라 건강보험 재정이 빠르게 소진되고 있어, 보험료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게 정부 입장입니다.

2. 국민연금 개편 논의 중

현재 국민연금 보험료율은 9%지만, 2025년 말까지 10~12% 인상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금 수령 시작 나이도 기존 65세에서 67세로 조정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어, 젊은 세대일수록 더 오랜 기간 보험료를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

3. 고용보험, 프리랜서도 포함

2025년부터는 유튜버, 작가, 라이더 등 플랫폼 노동자들도 고용보험 가입 대상이 됩니다.

프리랜서라도 일정 소득 이상이면 의무적으로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하며, 실업급여와 출산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4. 산재보험, 정신질환까지 확대

예전엔 산재보험이 주로 신체적 부상에만 해당됐지만, 2025년부터는 우울증, 불안장애 같은 정신질환도 산재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예: 감정노동에 시달리는 콜센터 직원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이 생긴 의료직 종사자 등

🧾 Q. 나도 가입됐는지 어떻게 확인하죠?

4대 보험 가입 여부는 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www.4insure.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만 있으면 직장가입자 여부, 보험료 납부 내역까지 모두 조회할 수 있어요.

✔ 사회초년생이 알아야 할 포인트 정리

  • 첫 직장 입사 후 4대 보험 자동 가입
  • 건강보험과 고용보험은 월급에서 자동 공제
  • 국민연금은 장기적 노후 대비용 → 개인 IRP와 병행 추천
  • 프리랜서도 2025년부터 보험료 납부 대상 확대

📎 마무리

이제 4대 보험이 무엇인지, 2025년에 어떤 점이 바뀌었는지 한눈에 이해되셨죠? 사회초년생이나 프리랜서라면 제도 변화를 모르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꼭 미리 체크하시길 바랍니다.

본 글은 2025년 7월 기준의 보건복지부 및 고용노동부 발표 자료를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달라지는 제도는 블로그를 통해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