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소득별 4대 보험 공제액 비교 (직장인·자영업자 기준)

by 류틴2 2025. 7. 30.

 

“4대 보험료가 올랐다는데, 난 도대체 얼마나 빠져나가?” 많은 분들이 2025년부터 인상된 4대 보험에 대해 이런 의문을 가지고 계십니다.

이번 글에서는 직장인, 자영업자, 프리랜서의 소득 수준별로 실제 얼마의 보험료가 공제되는지 한눈에 비교해드리겠습니다.

✅ 1. 직장인 기준 4대 보험 공제액

2025년 직장가입자 기준 보험료율:

  • 건강보험: 7.15% (장기요양 12.95% 별도)
  • 국민연금: 9% (사업주 50% 분담)
  • 고용보험: 1.8%
  • 산재보험: 사업주 전액 부담

💡 월급 300만 원, 400만 원, 500만 원 기준 비교

구분 300만 원 400만 원 500만 원
건강보험 약 21,450원 약 28,600원 약 35,750원
장기요양 약 2,780원 약 3,710원 약 4,640원
국민연금 135,000원 180,000원 225,000원
고용보험 5,400원 7,200원 9,000원
총 공제액 약 164,630원 약 219,510원 약 274,390원

📌 실수령액 기준으로는 평균 8~10% 공제된 금액을 받게 됩니다.

✅ 2. 자영업자·프리랜서 기준 보험료

자영업자는 4대 보험 중 건강보험, 국민연금은 의무, 고용보험·산재보험은 선택 또는 일부 의무 적용입니다.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소득, 재산, 자동차 반영
  • 국민연금: 월 10만 원~최대 495,000원 (2025년 기준)
  • 고용보험: 연 소득 7,200만 원 초과 시 의무 적용 가능

💡 연소득 3천, 5천, 7천 기준 비교 (지역가입자 예시)

구분 연 3,000만 원 연 5,000만 원 연 7,000만 원
건강보험 (월) 약 91,000원 약 135,000원 약 182,000원
국민연금 (월) 약 135,000원 약 180,000원 약 225,000원
고용보험 (선택) 해당 없음 의무 아님 연 소득 기준 초과 시 의무
총 예상 부담 약 226,000원 약 315,000원 약 407,000원

📌 지역가입자는 건강보험 조정 신청 가능 / 국민연금은 ‘임의가입’ 또는 ‘임의계속’ 선택 가능

✅ 3. 보험료 인상에 따른 대응 전략

  • 💳 **연말정산 시 공제 활용**: 국민연금, 고용보험, 건강보험은 세액공제 대상
  •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미리 조회**: 국민연금공단
  • 🧾 **소득 신고 정확성 유지**: 프리랜서·자영업자 기준 보험료 산정에 영향

📎 마무리

2025년 4대 보험 인상은 단순히 ‘더 낸다’는 개념이 아니라, 소득 구조에 따라 얼마나 부담이 발생하는지 분석하고 그에 맞게 조정하거나 혜택을 챙기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 소득 기준에서 보험료가 얼마나 빠지는지 정확히 알고, 불필요한 추징이나 누락 없이 현명하게 준비해보세요.

이 글은 2025년 7월 기준 고용노동부·보건복지부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